2019년 10월 21일 월요일

라이젠 PC 조립 이야기

라이젠으로 PC 를 하나 조립했는데 몇가지 문제가 생겼음.

간단한 사양
AMD 라이젠 7 3700X 마티스
MSI MAG B450 토마호크 맥스
ZOTAC 지포스 GTX 1660 Ti 백플레이트

문제 1. 온보드의 DVI 로 화면이 안나옴
DVI 만 있는 모니터는 온보드의 포트에 연결하려고 했는데,
라이젠은 이름에 G 가 붙은 모델만 내장그래픽을 지원한다고 함.

해결 1. DP-DVI 케이블을 사서 그래픽카드에 연결

문제 2. 부팅이 안되는 경우가 있음
1. 윈도우10 에서 다시시작으로 부팅하는 경우는 정상 부팅.
2. PC 에 전원이 연결된 채 윈도우10 에서 종료 후 부팅하면 문제 발생
3. 2 에서 부팅시 바이오스 부팅로고 (EZ DEBUG 의 boot LED) 전에 본체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 (부팅 시퀀스를 다시 하면서) 정상 부팅.
4. 윈도우 종료, PC 에 전원을 차단하고 30 초 후에 전원넣고 부팅하면 정상 부팅.
5. 4 에서 전원 차단 30 초 이전에 부팅하면 문제 발생.

* 문제 발생의 경우 다음 증상이 보임
1. 화면이 전혀 안나옴
2. 2분 이상 후에 부팅 됨
3. 부팅은 되나 사운드가 깨짐
4. 윈도우10 이 동작하지 않음

해결 2. 바이오스 펌웨어 다운그래이드로 해결
문제의 버전은 7C02v33.  7C02v32 에서는 문제가 더 심각했고, 7C02v31 로 바꾸니
바이오스 화면까지 3초 늘어났지만 부팅에는 문제가 없음.

# 같은 문제를 찾기 위해 인터넷을 뒤질 때는 보통 바이오스 펌웨어, 윈도우 업데이트를
최신으로 바꿔보라고 나오는데 다운그래이드로 해결
# 윈도우 업데이트는 2019-10-20 기준으로 최신
# 일단 MSI 에 현상 리포트

2018년 12월 26일 수요일

change-id 추가 hook

$ git clone xxx
$ cd xxx
$ scp -p -P 포트 유저명@서버:hooks/commit-msg .git/hooks

2018년 12월 18일 화요일

윈도우 커맨드 라인에서 msys2 의 bash 스크립트 실행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@echo off

set MSYSROOT=D:\msys64

start %MSYSROOT%\usr\bin\mintty.exe -w HIDE --dir "windows\full\path\to\start" /bin/env MSYSTEM=MSYS CHERE_INVOKING=1 /bin/bash -l /msys/or/windows/full/path/to/the/script.sh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start - 스크립트 실행중 커맨드라인 창이 남는 것을 방지
-w HIDE - mintty 실행 창이 보이지 않도록 설정
--dir -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실행. 없으면 홈
CHERE_INVOKING=1 - 홈디렉토리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

2018년 5월 1일 화요일

retropie 외장하드 마운트

osmc 사용할 때는 안그랬는데 retropie 를 사용하면서
외장 하드의 마운트 경로가 자꾸 바뀌는 경우가 생겨
삼바 및 kodi 에서 지정한 경로가 못쓰게 되는 일이 많아졌다.

어차피 늘 꽂아 놓고 쓸거고, 자세히 찾아보기도 귀찮아 일단
osmc 에서의 마운트 되었을 때의 옵션을 fstab 에 지정하기로 했다.

$ tail -1 /etc/fstab
UUID=A2346FB8346F8E5B /mnt/A234 ntfs-3g defaults,nosuid,nodev,default_permissions,uhelper=udisks 0 0

UUID 를 얻는 방법은
$ blkid
또는
$ ls -l /dev/disk/by-uuid/

2018년 4월 22일 일요일

micro:bit 시리얼 통신 설정


* 드라이버 설치
윈도 10 아래 버전에서는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.
https://docs.mbed.com/docs/mbed-os-handbook/en/latest/getting_started/what_need/
에서 시리얼 포트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.

* micro:bit 을 USB 로 PC 에 연결

* 테라텀 설정
Setup > Terminal... > New-line
Receive: [CR+LF]
Transmit: [CR+LF]
[*] Local echo

Setup > Serial port... >
Port: [선택 가능한 포트 선택]
Baud rate: [115200]

Setup > Save setup... > 저장

* 테스트
1. micro:bit 을 USB 로 PC 에 연결

2. 아래 예제 다운로드
----------
 serial.onDataReceived(serial.delimiters(Delimiters.NewLine), () => {
basic.showString(serial.readUntil(serial.delimiters(Delimiters.NewLine)))
})
serial.writeLine("ready")
----------

3. 테라텀 연결
File > New connection... > [*] Serial Port: [연결된 COM 포트 선택]

micro:bit 을 리셋하면 테라텀에 ready 가 표시되고,
테라텀에서 hello 엔터 를 입력하면 micro:bit 의 LED 매트릭스에 표시 됨.

2018년 4월 14일 토요일

micro:bit 자바스크립트 블록 에디터 개발 환경 개선

* 브라우저는 크롬을 사용.
* micro:bit 을 PC 에 연결하면 G: 드라이브로 인식

1. 전용 에디터
코딩 페이지를 전체화면으로 한 번에 열리도록 바로가기 설정

1) 바탕화면에서 오른 클릭 > 새로 만들기 > 바로 가기 > 크롬 실행파일 지정
2) 생성된 바로가기에서 오른 클릭 > 속성
3) 일반 탭 - microbit 으로 이름 변경
4) 바로가기 탭 - 대상의 마지막에 전체화면 옵션 및 코딩 페이지 추가
대상(T): [전체경로\chrome.exe --start-fullscreen https://makecode.microbit.org/#]
5) 아이콘 변경 - 적당한 그림을 받아 ico 파일로 변환하여 지정 

2. 프로그램 다운로딩 편하게
크롬에서 chrome://settings/ 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위치를 G:\ 로 변경
이제 다운로드를 누르면 복사 없이 micro:bit 에 다운로드 딘다.

2018년 3월 15일 목요일

sed 로 특정 줄 다음 줄을 치환

$ sed '/패턴/{n; s/치환/}' 파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