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tropie 에 Kodi 설치는
http://shallweeee.blogspot.kr/2018/02/retropie-kodi_1.html 참조
* PVR Client 설치
$ sudo apt-get install kodi-pvr-iptvsimple
$ sudo reboot
http://itreport.tistory.com/525 에 자세한 설명이 있음.
* PVR Client 설정
시스템 > 설정 > 애드온 > 내 애드온 > PVR 클라이언트
> PVR IPTV Simple Client > 설정 > 일반
위치: 로컬경로
M3U 재생 목록 경로: m3u 파일 경로
확인
사용함
# 왠지 Confluence 스킨에서는 최초 Enable 이 안되어
Estuary 스킨으로 변경후 Enable 가능 했음.
2018년 2월 6일 화요일
2018년 2월 1일 목요일
Retropie 에 Kodi 설치
Retropie 설치는 http://shallweeee.blogspot.kr/2018/02/retropie-kodi.html 참조
* Kodi 설치
$ sudo ~/RetroPie-Setup/retropie_setup.sh
'P Manage packaes' 진입
'opt Manage optional packages' 진입
'309 kodi' 진입
'B Install from binary' 선택
* 부팅후 Kodi 실행
$ cat << EOF > /opt/retropie/configs/all/autostart.sh
kodi #auto
emulationstation #auto
EOF
* Emulation Station 에서 Kodi 이름 변경
$ mv ~/RetroPie/roms/{ports,kodi}
$ sed '$i \
<system>\
<fullname>Kodi</fullname>\
<name>kodi</name>\
<path>~/RetroPie/roms/kodi</path>\
<extension>.sh</extension>\
<command>bash %ROM%</command>\
<platform>kodi</platform>\
<theme>kodi</theme>\
</system>' /etc/emulationstation/es_systems.cfg > ~/.emulationstation/es_systems.cfg
$ sudo reboot
* Kodi 와 Emulation Station 전환
kodi 에서 전원 > 나가기 => Emulation Station 으로 전환
Emulation Station 에서 Kodi 선택, KODI 선택 => Kodi 로 전환
* Kodi 스킨 변경 - Confluence
System > Settings > Interface settings > Skin > Skin Estuary > Get more... > Confluence 선택 > 설치 > Yes
* Confluence 한글 설정
System > Settings > Interface settings > Skin > Font >Arial based
System > Settings > Interface > Regional > Language > Korean
* Yatse 설정
시스템 > 설정 > 서비스 > 컨트롤
HTTP 를 통한 원격 제어 허용 [*]
핸드폰에 Yatse 설치
Local device > 호스트 관리 > + 버튼 > Kodi
발견된 호스트에서 Kodi (retropie) 선택
* 조이스틱 설정
시스템 > 설정 > 입력 > 연결된 컨트롤러 환경설정
$ sudo apt-get install fonts-nanum
$ cd /opt/retropie/configs/ports/kodi/addons/skin.confluence/fonts
$ ln -s /usr/share/fonts/truetype/nanum/NanumGothic.ttf NanumGothic.ttf
$ sed -i '/filename/s/>[^<]*</>NanumGothic.ttf</' /usr/share/kodi/addons/skin.confluence/720p/Font.xml
System > Settings > Interface > Regional > Language > Korean
* Kodi 설치
$ sudo ~/RetroPie-Setup/retropie_setup.sh
'P Manage packaes' 진입
'opt Manage optional packages' 진입
'309 kodi' 진입
'B Install from binary' 선택
* 부팅후 Kodi 실행
$ cat << EOF > /opt/retropie/configs/all/autostart.sh
kodi #auto
emulationstation #auto
EOF
* Emulation Station 에서 Kodi 이름 변경
$ mv ~/RetroPie/roms/{ports,kodi}
$ sed '$i \
<system>\
<fullname>Kodi</fullname>\
<name>kodi</name>\
<path>~/RetroPie/roms/kodi</path>\
<extension>.sh</extension>\
<command>bash %ROM%</command>\
<platform>kodi</platform>\
<theme>kodi</theme>\
</system>' /etc/emulationstation/es_systems.cfg > ~/.emulationstation/es_systems.cfg
$ sudo reboot
* Kodi 와 Emulation Station 전환
kodi 에서 전원 > 나가기 => Emulation Station 으로 전환
Emulation Station 에서 Kodi 선택, KODI 선택 => Kodi 로 전환
* Kodi 스킨 변경 - Confluence
System > Settings > Interface settings > Skin > Skin Estuary > Get more... > Confluence 선택 > 설치 > Yes
* Confluence 한글 설정
System > Settings > Interface settings > Skin > Font >Arial based
System > Settings > Interface > Regional > Language > Korean
* Yatse 설정
시스템 > 설정 > 서비스 > 컨트롤
HTTP 를 통한 원격 제어 허용 [*]
핸드폰에 Yatse 설치
Local device > 호스트 관리 > + 버튼 > Kodi
발견된 호스트에서 Kodi (retropie) 선택
* 조이스틱 설정
시스템 > 설정 > 입력 > 연결된 컨트롤러 환경설정
Retropie 설치
Raspberry pi 3retropie 4.3
32 GB SD 카드
* SD 카드에 Retropie 설치
1. 이미지 다운로드
https://github.com/RetroPie/RetroPie-Setup/releases/download/4.3/retropie-4.3-rpi2_rpi3.img.gz
2. 7-zip 등으로 압축 풀기
3. 윈도우즈용 라이터 프로그램 다운 및 압축 풀기
https://sourceforge.net/projects/win32diskimager/files/Archive/Win32DiskImager-1.0.0-binary.zip/download
4. 이미지 설치
Win32DiskImager 를 실행하여
Image File : Step 2 에서 푼 retropie-4.3-rpi2_rpi3.img 파일 경로 지정
Device : SD 카드가 있는 드라이브 지정
Write 버튼으로 설치
* 게임 컨트롤러 설정
1. SD 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설치하고 부팅하면 컨트롤러 설정 창이 나옴
2. 같은 디바이스 2개인데 한 번 설절으로 둘 다 움직임.
3. 없는 버튼은 이미 할당한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undefined 로 건너뛰기 가능
* SSH 활성화
1. Retropie 메뉴에서 A 버튼을 눌러 메뉴 진입
2. RASPI-CONFIG 항목으로 이동하고 A 버튼을 눌러 라즈베리파이 설정 화면 진입
3. '5. Interfacing Options' 진입4. 'P2 SSH' 진입
5. SSH 서버를 사용할거냐는 물음에 'Yes' 선택
6. PC 에서 retropie 로 ssh 연결. 사용자 pi, 비밀번호 raspberry
* 비밀번호 변경
$ sudo passwd pi
* 공개키 등록
PC $ ssh-keygen -N ""
PC $ ssh-copy-id pi@retropie
PC $ cat ~/.ssh/config
host pi3
hostname retropie
user pi
PC $ ssh pi3
* vim 설치
$ sudo apt-get install vim
# 요즘은 update-alternatives 까지 해주네...
* 로케일 설정
$ sudo raspi-config
'4 Localisation Options' 진입
'I1 Change Locale' 진입
[*] en_US.UTF-8 UTF-8
[*] ko_KR.UTF-8 UTF-8
기본 언어 선택에서 한글 선택
ko_KR.UTF-8
'I2 Change Timezone' 진입
Asia 선택
Seoul 선택
'I4 Change Wi-fi Country' 진입
KR Korea (South) 선택
* 화면의 테두리 없애기
Retropie 화면이 TV 화면에 꽉 차지 않고 검은 테두리가 생김
1. Overscan 설정 추가
$ echo disable_overscan=1 | sudo tee -a /boot/config.txt
2. 재부팅
$ sudo reboot
* samba 설정 변경
# 개인 용도의 설정. 따라할 필요 없음.
# [homes] 설정 주석처리
$ tail -15 /etc/samba/smb.conf
[roms]
comment = roms
path = "/home/pi/RetroPie/roms"
writable = yes
valid users = pi
[share]
comment = share
path = "/media/usb"
writable = yes
valid users = pi
[iTunes]
comment = iTunes
path = "/media/usb/iTunes"
read only = yes
valid users = itunes$ sudo adduser --disabled-login --no-create-home itunes
$ sudo smbpasswd -a itunes $ sudo smbpasswd -a pi
$ sudo service smbd restart
32 GB SD 카드
* SD 카드에 Retropie 설치
1. 이미지 다운로드
https://github.com/RetroPie/RetroPie-Setup/releases/download/4.3/retropie-4.3-rpi2_rpi3.img.gz
2. 7-zip 등으로 압축 풀기
3. 윈도우즈용 라이터 프로그램 다운 및 압축 풀기
https://sourceforge.net/projects/win32diskimager/files/Archive/Win32DiskImager-1.0.0-binary.zip/download
4. 이미지 설치
Win32DiskImager 를 실행하여
Image File : Step 2 에서 푼 retropie-4.3-rpi2_rpi3.img 파일 경로 지정
Device : SD 카드가 있는 드라이브 지정
Write 버튼으로 설치
* 게임 컨트롤러 설정
1. SD 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설치하고 부팅하면 컨트롤러 설정 창이 나옴
2. 같은 디바이스 2개인데 한 번 설절으로 둘 다 움직임.
3. 없는 버튼은 이미 할당한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undefined 로 건너뛰기 가능
* SSH 활성화
1. Retropie 메뉴에서 A 버튼을 눌러 메뉴 진입
2. RASPI-CONFIG 항목으로 이동하고 A 버튼을 눌러 라즈베리파이 설정 화면 진입
3. '5. Interfacing Options' 진입4. 'P2 SSH' 진입
5. SSH 서버를 사용할거냐는 물음에 'Yes' 선택
6. PC 에서 retropie 로 ssh 연결. 사용자 pi, 비밀번호 raspberry
* 비밀번호 변경
$ sudo passwd pi
* 공개키 등록
PC $ ssh-keygen -N ""
PC $ ssh-copy-id pi@retropie
PC $ cat ~/.ssh/config
host pi3
hostname retropie
user pi
PC $ ssh pi3
* vim 설치
$ sudo apt-get install vim
# 요즘은 update-alternatives 까지 해주네...
* 로케일 설정
$ sudo raspi-config
'4 Localisation Options' 진입
'I1 Change Locale' 진입
[*] en_US.UTF-8 UTF-8
[*] ko_KR.UTF-8 UTF-8
기본 언어 선택에서 한글 선택
ko_KR.UTF-8
'I2 Change Timezone' 진입
Asia 선택
Seoul 선택
'I4 Change Wi-fi Country' 진입
KR Korea (South) 선택
* 화면의 테두리 없애기
Retropie 화면이 TV 화면에 꽉 차지 않고 검은 테두리가 생김
1. Overscan 설정 추가
$ echo disable_overscan=1 | sudo tee -a /boot/config.txt
2. 재부팅
$ sudo reboot
* samba 설정 변경
# 개인 용도의 설정. 따라할 필요 없음.
# [homes] 설정 주석처리
$ tail -15 /etc/samba/smb.conf
[roms]
comment = roms
path = "/home/pi/RetroPie/roms"
writable = yes
valid users = pi
[share]
comment = share
path = "/media/usb"
writable = yes
valid users = pi
[iTunes]
comment = iTunes
path = "/media/usb/iTunes"
read only = yes
valid users = itunes$ sudo adduser --disabled-login --no-create-home itunes
$ sudo smbpasswd -a itunes $ sudo smbpasswd -a pi
$ sudo service smbd restart
2017년 7월 18일 화요일
github 에 ssh 로 접근
# 깃허브용 키 생성
$ ssh-keygen -f ~/.ssh/github -t rsa -b 4096 -C "email 주소"
# ssh_config 설정
$ cat ~/.ssh/config
Host github.com
User git
IdentityFile ~/.ssh/github
# 깃허브 저장소에 공개키 등록
저장소 > Settings > Deploy keys > Add deploy key
Title
[적당한 이름]
Key
[~/.ssh/github.pub 내용을 붙여넣기]
# 깃허브 접근 테스트
$ ssh -T git@github.com
Hi <깃허브계정/저장소>! You've successfully authenticated, but GitHub does not provide shell access.
# 저장소 클론
[Clone or Download] > Use SSH > [Copy To Clipboard] 버튼 클릭
$ git clone (붙여넣기)
# 깃허브에 올리기
$ git push origin master
$ ssh-keygen -f ~/.ssh/github -t rsa -b 4096 -C "email 주소"
# ssh_config 설정
$ cat ~/.ssh/config
Host github.com
User git
IdentityFile ~/.ssh/github
# 깃허브 저장소에 공개키 등록
저장소 > Settings > Deploy keys > Add deploy key
Title
[적당한 이름]
Key
[~/.ssh/github.pub 내용을 붙여넣기]
# 깃허브 접근 테스트
$ ssh -T git@github.com
Hi <깃허브계정/저장소>! You've successfully authenticated, but GitHub does not provide shell access.
# 저장소 클론
[Clone or Download] > Use SSH > [Copy To Clipboard] 버튼 클릭
$ git clone (붙여넣기)
# 깃허브에 올리기
$ git push origin master
2017년 6월 30일 금요일
코딩용 일본어 폰트 및 TTC 풀기
일어로 주석이 달린 코드를 보려는데, MS Gothic 으로는 보기가 힘드네.
https://github.com/adobe-fonts/source-han-code-jp
다운 받고보니 ttf 가 아니고 ttc 로 되어있다.
ttf 여러개를 하나의 파일로 묶어 놓은 것이라는데,
설치가 안되네. (아래의 다른 파일은 직접 설치가 된다)
ttc 파일을 풀어주는 프로그램
http://yozvox.web.fc2.com/unitettc.zip
다음 명령어로 풀고
> unitettc64.exe SourceHanCodeJP.ttc
14 개의 ttf 파일이 나왔다. 사용할 것만 설치하면 된다.
설치 했는데 teraterm 폰트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는다.
알고보니 고정폭 폰트가 아니고 같은폭 폰트였다.
또다른 폰트
https://myrica.estable.jp/
이건 ttc 로 그냥 설치가 됬다.
그럭저럭 괜찮긴한데 영어는 Bitstream Vera Sans Mono 쪽인 더 괜찮은 것 같다.
https://github.com/adobe-fonts/source-han-code-jp
다운 받고보니 ttf 가 아니고 ttc 로 되어있다.
ttf 여러개를 하나의 파일로 묶어 놓은 것이라는데,
설치가 안되네. (아래의 다른 파일은 직접 설치가 된다)
ttc 파일을 풀어주는 프로그램
http://yozvox.web.fc2.com/unitettc.zip
다음 명령어로 풀고
> unitettc64.exe SourceHanCodeJP.ttc
14 개의 ttf 파일이 나왔다. 사용할 것만 설치하면 된다.
SourceHanCodeJP001.ttf | ExtraLight |
SourceHanCodeJP002.ttf | ExtraLight Italic |
SourceHanCodeJP003.ttf | Light |
SourceHanCodeJP004.ttf | Light Italic |
SourceHanCodeJP005.ttf | Normal |
SourceHanCodeJP006.ttf | Normal Italic |
SourceHanCodeJP007.ttf | Regular |
SourceHanCodeJP008.ttf | Regular Italic |
SourceHanCodeJP009.ttf | Medium |
SourceHanCodeJP010.ttf | Medium Italic |
SourceHanCodeJP011.ttf | Bold Italic |
SourceHanCodeJP012.ttf | Bold Italic |
SourceHanCodeJP013.ttf | Heavy |
SourceHanCodeJP014.ttf | Heavy Italic |
설치 했는데 teraterm 폰트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는다.
알고보니 고정폭 폰트가 아니고 같은폭 폰트였다.
또다른 폰트
https://myrica.estable.jp/
이건 ttc 로 그냥 설치가 됬다.
그럭저럭 괜찮긴한데 영어는 Bitstream Vera Sans Mono 쪽인 더 괜찮은 것 같다.
2017년 6월 28일 수요일
vim: tip: 모든 파일에 equalprg 적용
$ cat script.vim :argdo exec "normal gg=G" | update :q $ vi -s script.vim *
cygwin + teraterm + vim 으로 euc-jp 파일 편집
* Shell
LANG=ja_JP.UTF-8 vim
*Vim
set fencs=utf-8,euc-jp
* Teraterm
Setup
Terminal
Kanji(receive) [UTF-8]
Kanji(transmit) [UTF-8]
locale [japanese]
Font
글꼴 [MS Gothic]
스크립트 [일본어]
LANG=ja_JP.UTF-8 vim
*Vim
set fencs=utf-8,euc-jp
* Teraterm
Setup
Terminal
Kanji(receive) [UTF-8]
Kanji(transmit) [UTF-8]
locale [japanese]
Font
글꼴 [MS Gothic]
스크립트 [일본어]
피드 구독하기:
글 (Atom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