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4년 4월 24일 목요일

Open webOS OE 빌드

  • 호스트 머신 스펙
Inter Core 2 quad  Q8200 2.33GHz
하드웨어 가상화 기능 없음

  • 우분투 설치
Ubuntu 12.04.4 64bit 설치

  • 패키지 설치 (데스크탑 빌드용)
$ sudo apt-get update

$ sudo apt-get install git git-core pkg-config make autoconf libtool g++ \
tcl unzip libyajl-dev libyajl1 qt4-qmake libsqlite3-dev curl

$ sudo apt-get install gperf bison libglib2.0-dev libssl-dev libxi-dev \
libxrandr-dev libxfixes-dev libxcursor-dev libfreetype6-dev \
libxinerama-dev libgl1-mesa-dev libgstreamer0.10-dev \
libgstreamer-plugins-base0.10-dev flex libicu-dev

$ sudo apt-get install libboost-system-dev libboost-filesystem-dev \
libboost-regex-dev libboost-program-options-dev liburiparser-dev \
libc-ares-dev libsigc++-2.0-dev libglibmm-2.4-dev libdb4.8-dev \
libcurl4-openssl-dev

$ sudo apt-get install xcb libx11-xcb-dev libxcb-sync0-dev \
libxcb1-dev libxcb-keysyms1-dev libxcb-image0-dev libxcb-render-util0-dev \
libxcb-icccm4-dev (32bit 는 libxcb-icccm1-dev)

$ sudo apt-get build-dep qt4-qmake

  • OE 빌드 빌드 환경 다운
$ mkdir ~/webos
$ cd ~/webos
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openwebos/build-webos.git
$ cd build-webos

  • 패키지 설치(OE 빌드용)
$ sudo scripts/prerequisites.sh

  • 빌드
$ ./mcf -p 8 -b 4 qemuarm
-p 는 make 의 -j 와 같음-b 는 BitBake 의 쓰레드 수
참조 사이트에는 -p 0 -b 0 을 사용
0 으로 주면 머신의 코어수로 자동 설정 됨.


$ make webos-image 
또는
$ make webos-image-devel
(개발툴 포함) 


  • qemuarm 실행
$ cd BUILD-qemuarm
$ source bitbake.rc 
$ runqemu webos-image qemuarm qemuparams="-m 512" serial
arm 에뮬레이션이라 kvm 은 사용 못함.

부팅 로그가 주르륵 올라감
참조 사이트에는 좀 기다리면 GUI 화면이 뜨는걸로 나오는데
아무리 기다려도 화면은 안 뜸.
 
  • 로그인
$ ssh root@192.168.7.2
참조 사이트에는 패스워드 없이 로그인 되는 걸로 나오는데 내 환경에서는 안된다.
(shadow 파일에도 패스워드 없어도 되는 걸로 되어 있기는 하다.)
login 프로그램 문제일지도...
webos-image-devel 의 경우는 자동으로 로그인 됐다.(같은 환경인데...)

  •  Trouble shooting
패스워드를 추가했더니 로그인 잘 됨. 다음 스크립트 사용(암호에서 그냥 엔터)
----------
#! /bin/bash

[ -d ~/tmp ] || mkdir ~/tmp
sudo mount -t ext3 ~/webos/build-webos/BUILD-qemuarm/deploy/images/webos-image-qemuarm.ext3 ~/tmp
sudo sed -i '/root/ s,::,:NIw8vk7G5oiO.:,' ~/tmp/etc/shadow
sudo umount ~/tmp
ssh-keygen -f ~/.ssh/known_hosts -R 192.168.7.2
----------

검토 사항.
post install 에서 위의 패스워드를 넣어주면 좋을 듯.

  • 종료 (qemuarm 에서)
# halt



참조
https://github.com/openwebos/build-desktop
https://github.com/openwebos/build-webos

2014년 4월 17일 목요일

ubuntu 정보

우분투를 설치했는데 버전을 확인하고 싶다.

$ uname -a
Linux localhost 3.11.0-15-generic #25~precise1-Ubuntu SMP Thu Jan 30 17:39:31 UTC 2014 x86_64 x86_64 x86_64 GNU/Linux

$ cat /etc/issue
Ubuntu 12.04.4 LTS \n \l

$ lsb_release -a
No LSB modules are available.
Distributor ID: Ubuntu
Description:    Ubuntu 12.04.4 LTS
Release:        12.04
Codename:       precise

2014년 4월 16일 수요일

Ubuntu 12.4 에서 dns 서버 설정


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스톨 후
네트워크를 사용하려고 하니 DNS 서버 설정이
되지 않아서 연결이 안된다.

/etc/resolv.conf 는 자동 생성 파일로 바꼈다고 하고...


# vi /etc/dhcp/dhclient.conf 로 다음을 추가하고
prepend domain-name-server <게이트웨이 IP>

# nm-tool 로 확인 
 
 


visudo 편집기 변경
# update-alternatives --config editor
 
 



apt 리포지토리 변경 
# vi /etc/apt/sources-list
kr.archive.ubuntu.com 를 ftp.daum.net 으로 모두 변경 
# apt-get update

 
 
sshd 설치

# apt-get install openssh-server

2014년 4월 15일 화요일

CapsLock 키, Ctrl 키 위치 변경


* 윈도에서
아래 내용을 파일로 저장하여(CapsLock_Ctrl.reg) 더블클릭하여 반영.
----------
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.00

[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Control\Keyboard Layout]
"Scancode Map"=hex:00,00,00,00,00,00,00,00,03,00,00,00,3a,00,1d,00,1d,00,3a,00,00,00,00,00
 
----------


* Ubuntu 에서
시스템 설정 > 키보드 배치 > 옵션 > Ctrl 키 위치 >
[v]Ctrl 과 Caps Lock 뒤바꾸기 > 닫기
# 14.x 부터 옵션이 없어진듯


* Xwindow 에서
~/.bashrc 에 다음을 추가
----------
setxkbmap -option 'ctrl:swapcaps'
----------


참고
http://www.emacswiki.org/emacs/MovingTheCtrlKey

2014년 3월 16일 일요일

cygwin wget 에서 certificate 에러

cygwin 의wget 으로 https 의 파일을 다운 받으려니 에러가 발생한다.
Connecting to https_host (https_host)|xxx.xxx.xxx.xxx|:443... connected.
ERROR: The certificate of `https_host' is not trusted.
ERROR: The certificate of `https_host' hasn't got a known issuer.

해결법
1. cygwin에서 ca-certificates 패키지 설치
2. wget에 ca-directory알리기
   커맨드라인: --ca-directory=/usr/ssl/certs 추가
   ~/.wgetrc: ca_directory = /usr/ssl/certs추가

참고 사이트
http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9224298/how-do-i-fix-certificate-errors-when-running-wget-on-an-https-url-in-cygwin

2014년 3월 11일 화요일

visual studio 2005 에서 TortoiseSVN 연동

메뉴 > Tools > External Tools... 에서 추가
수정사항 체크
Title          : TortoiseSVN - Check for Modifications
Command : TortoiseProc.exe 경로
Arguments: /command:repostatus /path:.
Initial Directory: $(SolutionDir)

로그 보기
Title          : TortoiseSVN - Show log
Command : TortoiseProc.exe 경로
Arguments: /command:log /path:.
Initial Directory: $(SolutionDir)

커밋
Title          : TortoiseSVN - Commit
Command : TortoiseProc.exe 경로
Arguments: /command:commit /path:.
Initial Directory: $(SolutionDir)


2014년 2월 19일 수요일

vim tip

* 폴딩

조건 컴파일은 일단 다 폴딩하고 필요한 것만 펴서 보기
:set foldmarker=#if,#endif
:set foldmethod=marker
:set foldmethod=manual

폴딩 생성
zf

폴딩 제거
zd

폴딩 열기
zo

폴딩 닫기
zc

폴딩 저장 :mkview

폴딩 복원
:loadview

* 태그

태그 이동
CTRL-]

태그 선택 이동
g CTRL-]


태그 복귀
CTRL-T

태그 스택 보기
:tags
 태그 스택에서 아래로 이동
:tag

태그 스택에서 위로 이동
 CTRL-T 또는 :pop